틈이 내게 말을 걸어올 때
이은정 시각적해설
〈모두의 나무〉, 2023.
2023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제작지원
이 작품의 주인공은 다섯 그루의 나무입니다. 나무들의 크기는 성인의 키를 넘습니다. 이 나무들은 수백 개의 사진들을 바느질하여 이어붙여 만들어졌습니다. 캔버스 위에 인쇄된 사진에는 진회색의 우둘투둘한 거친 나무 표면들과 부드러운 나뭇결을 찍은 모습이 실려 있습니다. 작품을 만져보면 실들이 손에 걸립니다. 사진과 사진 사이에는 붉은 실들이 팽팽하게 얽히고설켜 있습니다.
가지들은 사방으로 뻗어 옆에 있는 나무와 어깨 동무를 하고 있습니다. 그 모습은 마치 거대한 한 그루의 연리지 나무 같습니다. 연리지는 서로 다른 나무의 가지들이 오랜 시간 붙어 자라면서 하나로 연결된 것입니다. 서로에게 영양분을 주며 함께 생존하는 나무로 신비롭고 아름다운 사랑을 상징합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는 5· 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총을 맞은 나무들이 남아 있습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조경을 맡은 마이클 반 발켄버그는 이 나무들을 ‘목격자 나무’라고 불렀습니다. 그리고 광장과 이어지는 보존 지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조경 요소로 삼았습니다.
작가는 엄혹한 시절의 시련을 겪고 지금까지 생존한 목격자 나무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작가가 사용한 붉은 실에도 시대의 상처에 대한 치유의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목격자 나무를 실내 공간으로 들여와 우리 모두가 현재의 목격자가 된 모습을 표현했습니다. 작가는 봉합된 이미지의 틈, 나무와 나무 사이의 틈, 과거와 현재의 틈 사이로 관객들을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