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 헤매기

  • 일정 2023.4.27. ~ 2023.9.3.
  • 장소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창조원 복합3·4관

2023 ACC 콘텍스트 《걷기, 헤매기》는 걷기라는 일상적인 행위에 담긴 의미를 돌아본다. 첫 걸음마를 떼는 순간부터 지팡이를 짚기까지 전 생애에 걸쳐 우리는 날마다 걷는다. 누군가는 순례를 떠나고 누군가는 행진하듯, 걷는 일에는 단순히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몸의 움직임을 넘어서는 의미가 깃들어 있다.

무엇보다도 사건과 만남으로 가득한 길은 풍요로운 경험의 현장이다. 발길 닿는 대로 걷는 산보객이나 여행자들처럼 목적지 없이 서성이거나 딴 길로 새는 작가들의 다채로운 경험담은 어딘가 도달하는 것 이상으로 걷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발견을 중요하게 드러낸다. 동시에 걷는다는 지극히 일상적인 몸짓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예술적 방식이 될 수 있다. 고유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도시의 이면을 추적하고 소외된 이들과 함께 거리로 나서는 작품에는 현재의 위치를 벗어나 또 다른 지점으로 나아가려는 능동적 의지가 담긴다. 전시는 한걸음 한걸음 걸어나가는 동안 우리가 무엇을 발견하고 어디에 도달하며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지 고찰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한국, 과테말라, 멕시코,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등 세계 각국의 거리를 누비며 작가들이 선보이는 작품은 새로운 경로를 따라 함께 걸어나갈 길동무로 관객 여러분을 초청한다. 스스로 방향을 정해 나아간 곳에서 새롭게 경험한 것들에 대해 이야기할 때, 전시가 말하는 걷기는 삶의 은유가 된다. 최초의 목적지가 어디였는지는 중요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설령 걷다 헤맬지라도, 도시를 걷는 이들 모두가 이미 보행자이자 삶의 수행자(performer)임을 전한다.

쉬운 글 해설

《걷기, 헤매기》에서는 모두가 편하게 전시를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쉬운 글 해설’을 제공합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전시담당 학예연구사, 쉬운 정보를 만드는 사회적기업 소소한소통, 발달장애인분들과 함께 협력하여 작성하였습니다.

2023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걷기, 헤매기》 전시는 걷기의 의미를 새롭게 살펴봅니다. 세상에 태어나 첫 걸음마를 떼는 아기부터 지팡이를 짚고 걷는 노인까지, 우리 모두는 매일 걷습니다. 이 매일의 발걸음은 어딘가에 도착하기 위한 이동의 방법이기도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다른 이유로 걷기도 합니다. 순례*를 떠나고 행진을 하는 사람들처럼요.

걸으며 마주하는 사건과 사람은 삶을 풍성하게 합니다. 누군가는 걷는 과정에서 중요한 발견을 하기도 합니다. 《걷기, 헤매기》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의 걷기 경험도 그렇습니다. 작가들의 다양한 걷기는 때론 예술적 방식으로 나타납니다. 작가들만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도시의 숨겨진 모습을 따라가고, 소외된 이들과 함께 거리로 나서는 작품에는 새로운 곳을 향한 의지가 담겼습니다.

《걷기, 헤매기》 전시는 한 걸음 한 걸음 걷는 동안 우리가 무엇을 발견할 수 있을지, 스스로에게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생각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한국, 멕시코, 인도네시아, 중국 등 세계 여러 나라를 누비는 작품은 관객들을 길동무로 초대합니다. 작가들과 함께 걸으며 걷기의 새로운 의미를 찾아볼까요? 목적지가 어디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걷다 헤매도 괜찮습니다. 우리 모두는 이미 도시를, 그리고 삶이라는 자신만의 길을 걷고 있는 사람입니다.

*순례 : 여러 곳을 찾아다니며 방문하는 것. 종교적인 의미가 있는 장소 등 중요한 의미가 있는 곳을 찾아다니며 방문하기도 한다.

더보기

전시 안내

강동주

〈유동, 아주 밝고 아주 어두운〉, 2023.

김방주

〈그 누구의 것도 아니다: 그날 까마귀가 떨어트린〉, 2023.

김재민이

〈레이온 공장 달리기〉, 2023.

량즈워+사라 웡

〈팔을 구부리고 있는 소녀〉, 2014.

〈창파오를 입고 모자를 쓴 남자〉, 2014.

〈빨간 우산을 쓴 오피스 레이디〉, 2010.

〈의자를 들고 달리는 아이〉, 2014.

〈양복 차림으로 목 뒤를 문지르고 있는 남자〉, 2018.

〈등을 긁고 있는 일본 주부〉, 2010.

〈고무 대야를 머리에 이고 가는 아주머니들의 모습〉, 2023.

레지나 호세 갈린도

〈누가 그 흔적을 지울 수 있을까?〉, 2003.

〈사람들의 강〉, 2021-2022.

〈땅은 망자를 감추지 않는다〉, 2023.

리슨투더시티

〈거리의 질감〉, 2023.

리 카이 청

〈저 너머 텅 빈 땅〉, 2022.

〈지상지하〉, 2023.

마리나 아브라모비치 / 울라이 

〈연인, 만리장성 걷기〉, 1988/2010.

미라 리즈키 쿠르니아

〈발자취를 쫒다〉, 2023.

이창운

〈공간지도〉, 2023.

프란시스 알리스

〈실천의 모순 1 (가끔은 무엇인가를 만들면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1997.

〈실천의 모순 5: 우리는 사는 대로 꿈꾸곤 한다 & 우리는 꿈꾸는 대로 살곤 한다〉, 2013 .

〈국경 장벽 유형학: 사례 #1부터 #23까지〉, 2019-2021.

박고은

〈글자를 입은 소리들이 모인 지도〉, 2023.

새로운 질서 그 후

〈그 후 시티 〉, 2023.

〈둘러보기〉, 2023.

This site created by Studio Particle